-
728x90반응형
제이콥의 법칙이란 미국의 심리학자 제이콥(Jacob)이 주장한 이론으로, 인간관계에서도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호감을 느낀다는 내용입니다. 이 말인즉슨, 나와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는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는 같은 성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전혀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반대되는 이성에게 끌린다는 커플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극히 드물고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 중 하나라고 해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다양한 취향 속에서도 ‘공통점’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걸까요?
사람들은 왜 나랑 비슷한 사람에게 끌리는 걸까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를 맺고 살아갑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수많은 노력을 하죠. 특히나 현대사회처럼 개인주의가 만연한 시대일수록 더욱더 그렇습니다. 따라서 내가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으로부터 정보를 얻어야 하는데요. 이때 만약 상대방이 나와 비슷하다면 굳이 시간을 들여가며 탐색하거나 분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알고 있는 부분이니까요. 반면에 나와 너무 다르다면 이해하기도 어렵고 알아가는 과정 또한 쉽지 않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나와 비슷한 사람에게 관심이 가고 마음이 가는 것이죠.
그렇다면 모든 사람들이 다 그럴까요?
물론 아닙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개개인마다 각자 고유의 특성이 있고 개성이 있기 때문에 모두가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대체적으로 그렇다는 거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여러분 주위에 친구 한 명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외모에서부터 성격, 취미, 말투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나와 닮은 점이 많다고 느껴진다면 어떨까요? 아마 처음 보는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금방 친해질 수 있을 겁니다. 반대로 아무리 오래 알고 지낸 사이라도 어딘가 모르게 이질감이 느껴지고 친해지기 어렵다면 그것은 아마도 나와 다르기 때문이겠죠.
그럼 나는 누구와 닮았을까요?
사실 저도 아직까지는 제가 어떤 사람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살아가면서 계속해서 찾아가야 하는 숙제와도 같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러나 확실한 건 지금까지의 경험상 저의 모습은 누군가와 닮아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100% 일치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80% 이상은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거든요. 이것은 비단 연인관계에서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 거의 모든 인간관계에서 적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초두효과는 왜 일어나는 걸까요?
첫인상 효과라고도 불리는 초두효과는 인간관계에서도 많이 적용됩니다. 소개팅 자리에서 서로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초두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행동 중 하나죠. 실제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 만남에서 받은 이미지가 이후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겉모습뿐만 아니라 말투, 목소리, 태도 등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고 해요.
그렇다면 반대로 나쁜 첫인상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좋은 첫인상을 남기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 있을까요? 하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감 있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만약 실수를 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의연한 태도로 대처한다면 오히려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여러분도 너무 걱정하지 말고 당당하게 도전해 보세요!
면접장에서 긴장하면 말실수를 하게 될까 봐 걱정돼요. 어떡하죠?
긴장되는 상황 속에서 준비한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요. 이럴 땐 침착함을 유지하며 천천히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니 미리 연습해 두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예상치 못한 질문을 받았을 때는 솔직하게 대답하는 것이 좋은데요. 솔직함이야말로 면접관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랍니다.
오늘은 이렇게 ‘제이콥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지금 누군가를 만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앞서 소개해드린 팁들을 활용해 보는 건 어떨까요? 분명 당신에게도 좋은 기회가 찾아올 거예요!728x90반응형'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증편향 confirmation bias (0) 2023.04.14 현상 유지 편향 (0) 2023.04.13 파키슨 법칙 (0) 2023.04.11 웨이터의 법칙 (0) 2023.04.10 보유 효과 endowment effect (0) 202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