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빈 둥지 증후군이란 자녀들이 성장해서 부모 곁을 떠나거나 혹은 결혼 등으로 인해 가정을 이루고 독립하게 되면서 생기는 공허함과 외로움을 느끼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중년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데요, 이 시기엔 갱년기와 겹치면서 우울증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 증가나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서 젊은 층에서도 빈 둥지 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요. 그렇다면 빈 둥지 증후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빈 둥지 증후군 원인은 무엇인가요?
빈 둥지 증후군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사회적 요인이고, 두 번째는 개인적 요인이에요. 먼저 사회적 요인으로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가부장제에서는 남편 중심의 가사 분담이 이루어졌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남녀평등사상이 자리 잡으면서 아내에게 많은 부담이 전가되고 있죠. 또한 아이들을 양육하면서 엄마로서의 삶에만 집중하다 보니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자아상실감을 느끼게 됩니다. 다음으로 개인적 요인으로는 신체적 노화 및 질병, 경제적 어려움, 배우자와의 사별 등이 있습니다. 특히 노년층에게는 건강 악화라는 큰 문제가 찾아오는데요, 이로 인해 상실감과 무력감을 느끼기 쉽습니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와의 사별 역시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랜 시간 동안 서로 의지하며 살아온 만큼 빈자리가 더욱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겠죠.
빈 둥지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다음 항목 중 5개 이상 해당된다면 빈 둥지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 자식들이 다 커서 출가하거나 멀리 떨어져 산다. 2. 모든 일에 의욕이 없고 무기력하다. 3. 매사에 짜증이 나고 화가 난다. 4. 마음이 허전하고 쓸쓸하다. 5. 자꾸 눈물이 나거나 감정 기복이 심하다. 6. 내 인생이 실패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7. 스스로 쓸모없는 존재처럼 느껴진다. 8. 나 혼자 늙어가는 것 같아 서글프다. 9. 다른 사람과의 만남 자체가 귀찮다. 10. 죽고 싶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이렇게 보니 저도 벌써 나이가 든 건지..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 여러분 모두 열심히 살아오셨으니 앞으로의 남은 날들도 즐겁게 보내시길 바랍니다.빈 둥지 증후군이란 자녀들이 독립하거나 결혼함으로써 부모에게 발생하는 상실감과 외로움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미국의 정신분석학자인 보웬(Murray Bowen)이 처음 제시하였다.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정서적 유대감 약화 현상인 ‘정서적 이혼’이라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즉, 가정 안에서 부부간의 갈등 및 별거 등 다양한 문제 상황 속에서 자녀 양육에만 집중하던 엄마가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허탈감에 빠지는 증상을 말한다.
자녀들을 모두 출가시키고 나면 어떤 기분이 드나요?
아이들이 성인이 되고 나면 이제 다 키웠구나 하는 마음보다는 허전함이 먼저 들죠. 특히나 맞벌이부부라면 아이들이 어릴 때 육아문제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떨어져 있는 시간이 많았을 텐데 그런 경우엔 더욱더 빈자리가 크게 느껴질 거예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너무 슬퍼하진 마세요. 우리에게는 반려동물이 있잖아요! 반려견 혹은 반려묘와의 생활 속에서 새로운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답니다.
부모님들 중에서도 빈 둥지 증후군을 겪는 분들이 계신가요?
네 물론이죠. 제 주변에도 자식분들을 모두 출가시킨 후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분들이 많이 계세요. 아무래도 오랜 시간 동안 혼자 지내시다 보니 사회생활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서 힘들어하시는 모습을 종종 보곤 합니다. 그럴 땐 가까운 친구분들과의 만남을 자주 가지시거나 취미활동을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사람은 누구나 나이가 들고 노화하면서 자연스럽게 겪게 되는 과정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빈 둥지 증후군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다른 무언가에 몰두하는 것이겠죠? 저 같은 경우에는 운동을 하거나 영화를 보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곤 해요. 아니면 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요? 그동안 바쁘게 사느라 잊고 지냈던 나만의 여유를 찾아보는 거죠. 아마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가끔은 남편분과 데이트를 하면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것도 좋을 거라고 생각해요.728x90반응형'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쇠약 증후군 Social Breakdown Syndrome (0) 2023.03.23 사회병질 증후군 Sociopathic Syndrome (0) 2023.03.23 폴리아나 효과 Pollyana Effect (0) 2023.03.23 부정성 효과 Negativity Effect (0) 2023.03.23 부분 강화 효과 Partial Reinforcement (0) 2023.03.22